3.1 문법 대소문자 구분함 식별자 : 숫자는 첫글자로 못 씀. 카멜케이스로 표기 권장 주석 스트릭트 모드 “use strict”; 문장 : 세미콜론(;)으로 마무리 권장, 제어문에선 코드블록 권장 3.2 키워드, 예약어 37-38page 참고. 모드에 따라 예약어가 다르다. 5판에서 도입한 let, yield는 3판과의 호환성을 위해 비사용권장. 5판에서 키워드와 예약어를 식별자론 쓸 수 없지만 객체의 속성으론 쓸 수 있게 됨. 호환성을 위해 비사용권장. 3.3 변수 var 타입 3.4 데이터타입 Undefined, Null, Boolean, 숫자number, 문자열string, 객체object typeof : 변수의 데이터타입을 알아야할때 함수를 제외한 객체,
카테고리: Javascript
안녕하세요 @minieetea 입니다. 이 글은 페이스북의 자바스크립트 제대로 배우기 스터디를 위한 스터디 현황판에 대해 사용방법을 기술해 놓은 포스팅입니다. 더 궁금하신 것이 있으신 분은 트위터 @minieetea 또는 스터디 그룹 내에서 운영자 호출하셔서 말씀해주세요. 스터디 현황판 구글주소 : http://goo.gl/hmTKDO 사용대상 : 링크가 있는 누구나(지메일 계정이 없어도 가능합니다) 사용권한 : 수정/보기 사용방법 1) 먼저, 스터디 그룹원으로 등록합니다. 이름은 트위터 아이디(@xxx)형식도 좋고, 자기를 나타낼 수 있는 닉네임도 좋고, 본명도 좋고 무엇이든 상관없습니다. A열에 이름을 기재하고, B열에서 화살표를 눌러 참여하고자 하는 코스를 선택해주세요. –
자바스크립트는 나오자마자 HTML에 포함되었고, HTML 방해안하려는 방식으로 표준화 되면서 HTML명세에서 공식적으로 문서화되었습니다. 2.1 script 요소 5가지 옵션을 지정할 수 있음. (== 필수아님, 생략가능) – async : 뭔말이지!? 이해 못하고 있음…OTL – charset : 대부분 브라우저들이 무시하는 속성. – defer : 콘텐츠를 파싱하고 표시할때까지 스크립트 실행을 미루는 옵션. 스크립트를 외부에서 불러올때만 유효. – language : 폐기. – src : 외부 파일의 위치 – type : language 대체하려고 만들었지만, 생략해도 안전. 기본값이 text/javascript 로 되어있다. script 요소 사용방법 1) 인라인 –
원래는 모뎀시절에 서버와 통신하기 전에 유효성 검사를 위한 간단한 언어였다. 1.1 간추린 역사 익스플로러의 JScript와 넷스케이프의 자바스크립트가 있엇는데, 문법이나 기능을 제어할 표준이 없어서 자바스크립트를 표준화 하기로 함. 1.2 자바스크립트 구현 구현은 3가지로 나뉨. = 코어(ECMAScript) + 문서 객체 모델(DOM) + 브라우저 객체 모델(BOM) 코어 : 기반 언어 DOM : XML을 HTML에서 사용할 수 있도록 확장한 API. 전체 페이지를 노드의 계층 구조로 변환. BOM : 브라우저 창을 조절하게 하는 인터페이스 1.3 버전 궁금하면 14p-15p 1.4 요약 코어, DOM, BOM 에
개발자에 대한 막연한 동경과 경외심을 가진 나란 기획자란 늘 모바일환경에서만 일하다보니 웹과는 친숙하지 않은 편이다. 그나마 javascript 기반의 구글스크립트를 이용해 업무자동화를 해본 경험, 회사와 개인 워드프레스 설치와 커스텀으로 다져진 php와 css 눈짐작과 Coursera의 Startup Engineering으로 연마하려다만 아마존 서버설정 등이 웹경험의 전부. 업계종사자(…)로서 모바일 개발 경험은 안드로이드는 학부 때 잠깐, 아이폰은 학원에서 한달 반정도 스터디 해본게 전부. 정말 제대로 공부해본 적도 없이 어깨넘어 배운게 전부인 프로그래밍 언어라 ‘제대로 한다면 뭘?’이라는 물음표를 항상 지니고 있었다. 주위에 많은(정말 많긴함) 개발자 분께 상담(??)을